<파조소개>
공(公)의 휘(諱)는 홍덕(弘德)이고 1383년(우왕9년)에 본제(本第)에서 태어나니 자(字)는 남포(南逋)이고 호(號)는 팔송(八松)으로 보문각대제학(寶文閣大提學) 휘(諱) 종보(宗輔)의 손자이고 문하부정언(門下府正言) 휘(諱) 인량(仁良)의 아들로 덕성(德性)을 지녀 침묵하고 정직하여 만인의 추앙을 받았으며 등과(登科)하여 여러 벼슬을 거쳐 정헌대부(正憲大夫) 병조판서(兵曹判書)로 1454년(단종2년)에 사신으로 명(明)나라에 들어가 그 이듬해인 1455년(단종3년)에 돌아오니 세조(世祖)가 이미 왕위를 물려받았고 단종(端宗)은 영월(寧越)에 물러나 있었다.
공(公)은 곧 유궁(幽宮)에 모든 사실을 상주하고 단종복위(端宗復位)를 꾀하다가 참화(慘禍)를 당한 육신(六臣)을 위해 눈물을 흘리면서 혼자 살아서 남아있는 처지를 부끄럽게 여기며 순절하려고 함에 구십 노모(老母)의 간곡한 만류로 인해 노모를 모시고 종질(從姪) 노송정공(老松亭公)과 함께 남하(南下)하여 남원(南原)의 교룡산(蛟龍山) 밑에 은거하며 소나무 여덟그루를 심고 상하단(上下壇)을 만들어 나무마다에 육신과 매월당(梅月堂:김시습선생) 그리고 자신을 포함하여 팔충(八忠)의 뜻을 나타냈고 단종휘일(端宗諱日)에 상단(上壇)에 육신의 제삿날에는 하단(下壇)에 분향곡배(焚香哭拜)하였다.
공(公)은 년(세조6년)에 돌아가시니 당시에 평장(平葬)한 관계로 실묘되었으나 1967년에 지금의 묘소를 심묘(尋墓)하였고 그동안 남원유림(南原儒林)들이 신단(神壇)을 설치해 제사를 지내왔으며 지난 2003년 4월에 공주(公州)의 숙모전(肅慕殿) 동무(東廡)의 48위차에 추배되었다.
경주정씨문헌공파대종회|
02|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따박골 4길 10, 103동 1201호 COPYRIGHT ⓒ 2016 By Kyungju Jungsi All rights reserved. |